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 추이 서울 도심에 폐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 알고 계신가요? 특히 초등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초등학교 폐교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 폐교들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이어지다가, 실버타운으로 전환하자는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서울시 교육청은 조례를 개정했습니다. 그 내용은 바로 폐교 재산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것인데요. 핵심은 이 폐교들을 노인 복지 주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전국 각지에 폐교가 많이 있는데, 이를 노인 복지 공간으로 활용하는 사례는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노인 대학, 요양 시설, 치매 요양원 등으로 사용되곤 했죠. 그러나 대부분 지방에 위치해 있었고, 서울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이번 조치를 통해 서울 한복판의 폐교들이 진정한 의미의 실버타운으로 변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노인 복지 시설을 넘어, 노인들이 실제로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예전에 다녔던 초등학교 자리에 새로운 주거 공간이 생겨, 그곳에서 노후를 보낼 수 있게 되는 거죠. 물론 기존 건물은 다시 지어야겠지만요. 교육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약 4,000여 개의 폐교가 있습니다. 이 중 매각되지 않고 보유 중인 폐교가 1,300곳이 넘는데요, 장부가 기준으로 약 2조 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또한 아직 활용 방안이 결정되지 않은 폐교도 400여 곳에 이릅니다. 서울시 교육청이 보유하고 있는 폐교는 여섯 곳입니다. 어디인지 살펴보면: 도봉구의 도봉고등학교 강서구의 염강초등학교와 공진중학교 광진구의 화양초등학교 성동구의 덕수고등학교 분교 성수공업고등학교 이들 학교는 모두 입지 조건이 뛰어납니다. 지하철역이나 주요 도로와 인접해 있고, 대지 면적도 넓습니다. 그래서 이미 여러 건설사와 금융 회사들이 이 폐교 부지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이 논의의 시작은 지난 3월에 열린 민생 토론회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당시 대통령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