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 가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어제는 4.2%를 넘어섰는데, 이는 지난 7월 이후 최고치입니다. 이는 지난달 미국이 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하기 전 수준으로 돌아간 셈인데요, 시장에서는 앞으로 금리가 크게 내려가지 않을 것 이라는 쪽에 베팅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시장 전망의 변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국이 이른바 '빅 컷'을 시작하면서 기준 금리가 계속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였습니다. 금리는 이제 내려갈 일만 남았다는 분위기였죠. 하지만 최근 금리가 다시 상승하면서 시장의 전망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유 1: 생각보다 견조한 미국 경제 첫 번째 이유는 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더 탄탄해 보인다는 것 입니다. 미국이 기준 금리를 내리려는 이유 중 하나는, 현재의 고금리를 계속 유지하면 실물 경기가 매우 나빠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경제 지표들을 보면,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훨씬 좋습니다 . 특히 소비가 여전히 활발한데, 이는 물가가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 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를 빨리 내릴 필요가 없다는 해석 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유 2: 증가하는 미국 정부 부채 두 번째 이유는 미국 정부 부채가 너무 많이 늘었다는 것 입니다. 앞으로 미국 대통령이 해리스 후보가 되든 트럼프 후보가 되든 부채가 더 늘어날 것 이라는 점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두 후보 모두 공약에서 정부 지출을 확대할 계획 을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 부채가 늘어나면 시중 금리가 상승하는 문제 가 발생합니다. 왜 그럴까요? 정부가 돈을 빌리기 위해서는 국채를 발행해야 합니다. 미국 정부가 대량으로 국채를 발행하면 시중에서는 국채를 사느라 현금이 줄어듭니다 . 즉, 시중의 여유 자금이 미국 정부로 몰리는 것이죠. 그러면 자금이 필요한 다른 사람들은 국채보다 더 높은 금리 를 제시해야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돈을 구하려는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