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마세라티 뺑소니 사건, 숨겨진 의혹과 치밀한 도주극
뺑소니 사망사고. 마세라티 운전자 24일 새벽 3시 11분, 광주 서구 화정동의 한 도로에서 마세라티 차량이 배달 오토바이를 들이받았습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는 크게 다쳤고, 함께 타고 있던 20대 여성, 운전자의 여자친구는 그 자리에서 숨졌습니다. 두 사람은 배달일을 마치고 함께 퇴근하던 길이었죠. 사고의 충격은 매우 컸습니다. 오토바이는 100m나 튕겨 나갔고,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부서졌어요. 인근 CCTV 영상을 확인한 결과, 마세라티는 서행 중인 오토바이를 들이받을 당시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사고 후, 차량에서 내린 두 명이 재빨리 도주하는 모습도 확인됐습니다. 이 차량은 법인 소유였지만, 번호판은 연두색 법인 차량 번호가 아닌 일반 차량 번호판이었습니다. 또한, 사고 전 광주의 상무지구 일대에서 이 마세라티와 또 다른 법인 소유의 벤츠 차량이 함께 질주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두 차량이 사전에 경주라도 했던 게 아닌가 하는 의혹이 생겼죠. 용의자의 구속과 도주 과정 운전자는 33세 김모 씨로 밝혀졌으며, 그는 사고 직후 현장에서 도주했습니다. 경찰은 그의 도주를 돕던 30대 조력자 오모 씨를 함께 구속했습니다. 김씨는 사고 직후 차량을 500m 떨어진 곳에 버리고, 다른 지인인 C씨의 벤츠 차량으로 갈아타 대전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대포폰을 사용하며 경찰의 추적을 피해, 인천국제공항 근처에서 휴대전화를 꺼 두고 해외 도피를 계획했지만, 결국 수사중이라는 주변의 자수 권유를 받고 다시 서울로 숨어들었습니다. 도주 이틀 만에 서울 강남구에서 경찰에 붙잡혔죠. 이 과정에서 김씨는 사고를 치밀하게 은폐하려 했습니다. 그가 사용한 대포폰, 벤츠로의 차량 교체, 해외 도피 계획 등은 그의 도주가 단순한 우발적 행동이 아니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김씨가 조직범죄와 연관된 인물이 아닌가 하는 의혹도 제기되었죠....